학원 가기 싫은 날

 

 

초등학생의 시라고 보기엔 내용이 너무 폭력적이어서 논란이 일고 있다. 대다수 학부모와 교사들은 “섬뜩하다”면서 고개를 가로저었으나 또래 아이들 사이에선 “무섭지만 심정은 이해가 된다”는 반응도 나왔다 ....

지난달 출간된 이모(10)양의 동시집에 수록된 ‘학원 가기 싫은 날’에는 여자아이가 쓰러진 어머니로 보이는 여성 옆에서 입가에 피를 묻히고 심장을 먹고 있는 삽화가 곁들여져 있다. 이 책의 주 독자층은 초등학생들이다.

학부모인 강모(33·여)씨는 “초등학생 아이를 둔 엄마의 입장에서 시를 보고 큰 충격을 받았다”며 “내 아이에게는 절대로 읽히고 싶지 않은 책”이라고 잘라 말했다. 김모(35)씨도 “학부모 상담을 위해 학교를 찾았는데 담임선생님이 나를 상어로 묘사한 아들의 그림을 보여준 적이 있다”며 “그때도 실망감이 들었지만 이렇게까지 묘사할 정도라면 미디어를 끊고 시골로 이사라도 가야 하나 싶다”고 허탈해했다 ....

반면 또래 학생들은 “무섭지만 어느 정도는 공감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김모(13)군은 “그림을 보고 소름이 돋았지만 내용은 공감이 된다”며 “얼마나 학원에 가기 싫었으면 저런 글을 썼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

이 시집을 발간한 김숙분 발행인은 “성인 동시 작가가 어린이를 위해 썼다면 출간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어린이가 자기의 이야기를 쓴 책이기 때문에 가감 없이 출간했다”고 말했다 ....  “이것을 보고 시대의 슬픈 자화상을 발견하고 어른들의 잘못된 교육에 대해 반성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양의 어머니는 “그 시를 읽고는 아이가 다니기 싫어하는 학원에는 더 이상 보내지 않았다”며 “이렇게 싫어하는 줄은 나 역시 알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어 “시가 아니고 다른 방식으로 이런 말을 들었다면 엄마로서 화를 냈을 것”이라며 “하지만 시는 시일 뿐”이라고 말했다. 그는 “딸은 이전에도 많은 시를 썼으며, 다른 아름다운 시도 많은데 이 시만 가지고 논란이 불거지는 것은 원치 않는다”고 말했다.

- 2015.5.4 세계일보

 

 

 

 

욕하는 사회, 욕 권하는 사회

[중략]

국문학자 김열규 교수도 1997년 출간된 욕에 대한 그의 저서 '욕, 그 카타르시스의 미학'에서 "욕먹어 싼 인간이 있고 욕먹어 마땅한 세상이 있기에 욕할 만한 경우가 생기는 것"이라고 적고 있다. 또 "욕은 상식으로는 도저히 불가능한 일, 이성이나 이치로는 있을 법하지 않은 일에 기겁한다"고 한다. 고운 말로 해서는 통하지 않는 세상이 욕 생산 메커니즘의 실체라는 얘기다.

결국 스트레스가 많고 사람답게 사는 것과는 점점 거리가 멀어지는 현실이 욕에 고스란히 반영돼 있다. 몇 가지 사례를 들어보자. 서울의 한 초등학교. 교장 선생의 훈화 말씀이 끝도 없이 이어지자 "18, 개 길어, 지랄 개드립 치고 있네" 어김없이 욕설이 터져 나온다. 이런 말은 기존 권위와 질서에 대한 극도의 혐오를 담고 있는데 아이들이 맞닥뜨리고 있는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최근 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아동들은 전 세계에서 학업 부담으로 인해 가장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과 일상에서 느끼는 만족도는 최하위 수준이었다. 행복하지 않는 현실과 청소년기의 튀고 싶은 욕구가 복합적으로 아이들이 욕을 하도록 부추기고 있는 것이다.

성인이라고 해서 다르지 않다. 여전히 취업률은 최저 수준이고 간신히 취업을 한다고 해도 삶이 나아지는 것도 아니다. 한국, 중국, 홍콩, 태국, 뉴질랜드, 영국 등 6개국에서 실시한 조사 결과 한국 30대의 '웰빙지수'가 가장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는 발표도 있었다. 사회, 건강, 가족, 재정, 직장 등 뭐하나 마음에 들지 않는 게 우리네 성인들이 느끼는 솔직한 감정이다. "썅, ㅈ같은 놈, 졸라, ㅆ팔년, 염병 할 새끼, 미친년, 또라이" 등등의 욕설이 익숙한 것은 욕을 통해 감정을 발산하는 이들이 그 만큼 많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중략]

(아시아경제, 2015.3.19)

 

BACK